맨위로가기

다음수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음수 함수는 페아노 공리계에서 자연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함수이다. 덧셈보다 기본적인 연산으로 취급되며, 0을 포함하는 자연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1은 S(0)으로 정의되며, 덧셈은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집합론적 정의에서는 0을 공집합으로, 다음수 S(x)를 x ∪ {x}로 정의한다. 다음수 함수는 하이퍼 연산의 0단계 기본 함수이며, 덧셈, 곱셈, 거듭제곱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재귀 함수에 의한 계산 가능성 특정화에 사용되는 원시 재귀 함수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과학 내 논리 - 자동화된 추론
    자동화된 추론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논리적 추론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분야로, 수리 논리학의 발전과 초기 연구를 통해 자동 정리 증명 분야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AI 겨울을 겪었지만 소프트웨어 검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Coq, HOL Light 등의 증명 보조기가 개발되어 난제들의 형식적 증명에 기여했다.
  • 컴퓨터 과학 내 논리 - 혼 절
    혼 절은 하나의 긍정 리터럴만을 포함하는 분리절이며, 논리 프로그래밍, 자동 정리 증명, 데이터베이스 이론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산술 - 페아노 공리계
    페아노 공리계는 자연수를 엄밀하게 정의하기 위해 주세페 페아노가 제시한 공리계로, 자연수 집합이 만족해야 할 5가지 성질(0의 존재, 따름수의 존재, 따름수의 0이 아님, 따름수 함수의 단사성, 수학적 귀납법)을 규정하며 현대 수학의 기초를 이룬다.
  • 산술 - 연산 (수학)
    수학에서 연산은 집합의 원소들을 입력받아 새로운 원소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입력값의 수에 따라 n항 연산으로 정의되며, 항수에 따라 영항, 단항, 이항 연산 등으로 분류되고 내부 연산과 외부 연산으로 구분된다.
  • 수리논리학 - NAND 게이트
    NAND 게이트는 모든 입력이 1일 때 0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1을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로서, 다양한 기호로 표현되며, AND 연산의 결과를 부정하는 연산을 수행하고,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 완전하여 디지털 회로 설계에 필수적이다.
  • 수리논리학 -
    셈은 대상의 개수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행위로, 수학에서는 집합의 원소 개수를 파악하는 과정으로 정의되며, 셈의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셈을 배우는 과정은 아동의 교육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음수 함수
일반 정보
이름다음수 함수
다른 이름사상 함수
증분 함수
영어 이름Successor function
정의
정의어떤 자연수 n에 대해 n+1을 반환하는 연산
표기법S(n) = n + 1 (∀n)
예시
예시H₀(a, b) := 1 + b
관련 개념
관련 개념페아노 공리계

2. 페아노 공리계에서의 정의

다음수 함수는 자연수를 정의하는 페아노 공리계에서 기본적인 연산으로 사용된다.[1] 페아노 공리계에서는 덧셈보다 다음수 함수가 먼저 정의되며, 이를 이용해 0을 제외한 모든 자연수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1은 다음수 함수 ''S''를 0에 적용한 ''S''(0)으로 정의된다.[1]

집합론을 기반으로 자연수를 구성하는 방식도 있다. 존 폰 노이만은 숫자 0을 공집합 {}으로 정의하고, 임의의 자연수 ''n''의 다음수 ''S''(''n'')을 집합 ''n'' ∪ {''n''}으로 정의하는 방법을 제안했다.[2] 무한 공리는 0을 포함하며 다음수 연산 ''S''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 '''N'''(자연수의 집합)의 존재를 보장하며, 이 집합 '''N'''의 원소들을 자연수라고 부른다.[5]

2. 1. 덧셈과의 관계

다음수 함수는 자연수를 정의하는 페아노 공리계에서 사용된다.[1] 이 공리계에서는 덧셈이 먼저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수 함수를 통해 0보다 큰 모든 자연수와 덧셈 연산 자체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숫자 1은 다음수 함수를 0에 적용한 ''S''(0)으로 정의된다.

자연수의 덧셈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1]

정의
m + 0m
m + S(n)S(m + n)



이 정의를 이용하면 임의의 두 자연수의 덧셈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 + 2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

5 + 2 = 5 + ''S''(1) = ''S''(5 + 1) = ''S''(5 + ''S''(0)) = ''S''(''S''(5 + 0)) = ''S''(''S''(5)) = ''S''(6) = 7

또한 다음수 함수는 하이퍼 연산의 무한 계층(덧셈, 곱셈, 거듭제곱, 테트레이션 등)을 구축하는 가장 기본적인 연산(0단계)으로 간주된다.[3] 더 나아가, 다음수 함수는 계산 가능성계산 가능한 함수로 특징지을 때 사용되는 기본적인 원시 재귀 함수 중 하나이다.

3. 집합론적 구성

자연수집합론에 기반하여 구성하는 여러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중 존 폰 노이만이 제시한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는 수학기초론에서 중요한 접근법 중 하나이다.[2] 이 방식은 자연수를 순차적인 집합으로 정의하며, 무한 공리는 이러한 방식으로 정의된 자연수 전체의 집합이 존재함을 보장하는 데 사용된다.

3. 1. 무한 공리

자연수를 집합론에 기반하여 구성할 때, 일반적인 접근 방식은 숫자 0을 공집합 {}으로 정의하고, 다음수 ''S''(''x'')를 ''x'' ∪ { ''x'' }로 정의하는 것이다. 무한 공리는 0을 포함하고 다음수 함수 ''S''에 대해 닫혀 있는 집합 ℕ의 존재를 보장한다. 이 집합 ℕ의 원소들을 자연수라고 부른다.[5]

4. 하이퍼 연산과의 관계

다음수 함수는 하이퍼 연산의 무한 계층에서 0단계 기초이다.[3] 하이퍼 연산은 덧셈, 곱셈, 거듭제곱, 테트레이션 등으로 이어지는 연산의 계층을 일반화한 것이다. 즉, 다음수 연산을 반복하여 덧셈을 정의하고, 덧셈을 반복하여 곱셈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더 높은 단계의 연산을 구축해 나갈 수 있다.

또한, 다음수 함수는 계산 가능성을 계산 가능 함수로 특징짓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원시 재귀 함수 중 하나이다.

5. 계산 가능성 이론

다음수 함수는 계산 가능성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함수는 계산 가능 함수를 정의하고 그 성질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함수 중 하나로, 특히 원시 재귀 함수의 하나로 분류된다. 즉, 어떤 함수가 계산 가능하다는 것을 형식적으로 정의하고 증명하는 과정에서 다음수 함수가 기초적인 구성 요소로 활용되는 것이다.

참조

[1] 서적 Mathematical Foundations of Advanced Informatics—Volume 1: Inductive Approach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 문서 Halmos, Chapter 11
[3] 웹사이트 Ackermann's Function and New Arithmetical Operations http://www.rotarysal[...] 2004
[4] 웹사이트 再帰的関数論 http://www.kurims.ky[...] 京都大学数理解析研究所 2017-11-27
[5] 문서 Halmos, Chapter 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